Top Stories:
보도자료

수전증 극복한 예술혼…국립전주박물관 석전기념실 새 단장

Summary

국립전주박물관이 악필법의 서예가로 유명했던 석전 황욱 선생의 기념실을 개편하고 일반에 공개했다. 국립전주박물관 제공 전북 전주시 완산구에 위치한 국립전주박물관이 석전기념실을 새로 ...

국립전주박물관이 악필법의 서예가로 유명했던 석전 황욱 선생의 기념실을 개편하고 일반에 공개했다. 국립전주박물관 제공

전북 전주시 완산구에 위치한 국립전주박물관이 석전기념실을 새로 개편하고 관람객에게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석전기념실은 손바닥으로 붓을 감싸 쥐는 악필법으로 유명한 서예가 석전 황욱(1898~1993) 선생을 기리는 전시공간이다. 이곳은 1990년 석전의 아들 황병근씨가 5천여점이 넘는 수집품을 국립전주박물관에 기증하면서 2002년 11월 처음 문을 열었다.

올해는 잠시 문을 닫고 리모델링을 통해 새롭게 꾸몄고, 종전의 작품에다 그동안 선보이지 않았던 작품 등 100여점을 전시했다. 석전의 서예작품, 문방사우, 옛 책과 편지·수집품 등을 선보인 것이다. 특히 석전의 삶과 작품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한 영상도 상영한다.

석전 황욱 선생이 생전에 왼손 악필법으로 글씨를 쓰는 모습. 국립전주박물관 제공

기념실에서는 석전의 글씨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볼 수 있다. 아직 중앙서단에 나서지 않았던 초기의 단아한 글씨(1965년)부터 손이 떨리는 수전증을 극복하려고 악필법을 시작한 때의 달라진 서풍(오른손 악필법, 1965~1983년), 오른손 악필조차 어렵게 되자 왼손 악필을 시도하면서 역경을 이겨낸 시기의 글씨(왼손 악필법, 1984~1993년)를 전시한다.

만년의 왼손 악필법 시기는 오히려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시기다. 석전의 독특한 서풍을 잘 보여주는 때로 그의 서예에 대한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전시실 한 곳에 마련된 영상 상영 공간에서는 석전이 남긴 전주 한옥마을의 오목대, 한벽당 요월대 현판을 비롯해 고창 계산서원, 고창읍성,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정읍 무성서원 태산사 등 전북의 여러 명소의 현판을 소개하는 내용을 상영한다.

석전 황욱 선생의 운강서실(위) 작품으로 1964년 가을에 썼다. 석전의 초서오언시병풍(아래) 작품은 1977년에 석전이 초서체로 쓴 병풍이다. 국립전주박물관 제공

또한 생전의 휘호(붓을 휘두른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을 말함) 장면과 아들인 황병근씨의 인터뷰 영상 등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밖에도 석전이 사용했던 안경, 담뱃대 같은 유품과 문방사우로 대표되는 글씨 쓰는 도구들을 모은 공간도 마련했다.

송진충 학예연구사는 “새롭게 단장한 석전기념실은 그의 서예를 소개하면서 작품에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준비했다. 역경을 극복한 강인한 의지와 불굴의 예술정신으로 이뤄진 그의 삶과 그 속에서 탄생한 예술혼이 깃든 개성 있는 글씨를 만나볼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전주박물관이 악필법의 서예가로 유명했던 석전 황욱 선생의 기념실을 새단장하고 공개했다. 오른쪽 영상으로 그의 글씨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국립전주박물관 제공

박임근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