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경제

빚 못 갚는 가계·기업 늘어… 4대 금융지주 부실채권 급증

Summary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대출 관련 현수막. 연합뉴스 케이비(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이 3분기 만에 2조원 넘게 늘었다. 시장 금리가...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대출 관련 현수막. 연합뉴스

케이비(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이 3분기 만에 2조원 넘게 늘었다. 시장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들이 늘었다는 뜻이다. 고금리 추세가 이어지고 경기 회복도 더딘 터라 이런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의 손실흡수능력도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1일 케이비(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실적을 보면, 3분기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 총액은 7조4394억원으로 지난해 말(5조3987억원) 대비 2조407억원(37.7%)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은행이 원리금 회수가 어렵다고 판단한 여신을 부르는 말로 통상 부실여신(채권)으로 본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하나금융이 지난해 말 대비 46%(증가액·5790억원) 늘어 4대 금융지주 중 고정이하여신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뒤이어 케이비(KB)금융(43.9%·6397억원), 우리금융(36.9%·3990억원), 신한금융(26.5%·4230억원) 순이다. 총여신에서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케이비금융(0.34%→0.48%)이 3개 분기 동안 가장 많이 뛰어올랐다. 하나금융과 신한금융, 우리금융 이 비율이 각각 0.12%포인트, 0.11%포인트, 0.10%포인트씩 뛰어올랐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연체율과 함께 금융회사의 자산 건전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이런 차이는 금융지주별로 위험 관리 역량과 여신 전략이 서로 다르고 무엇보다 자산 구성이 달라서 빚어진다. 예를 들어 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호(SOHO·소규모 자영업자) 대출이나 담보가 없거나 취약한 대출이 많은 금융회사는 경기 부진 때 고정이하여신과 그 비율이 빠르게 늘거나 상승한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금리가 인상되고 공사비가 올라가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상황이 나빠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대손충당금 전년 대비 2배 쌓아
금융위, 추가 적립 요구권 도입

손실이 늘면서 각 금융회사는 대손충당금도 빠르게 쌓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손충당금은 빚을 떼일 것을 대비해 쌓아두는 자금으로, 은행들의 손실흡수능력을 보여준다. 다만 늘어날수록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배당 재원이 줄어드는 측면이 있다. 4대 금융지주의 3분기 말 대손충당금은 5조5428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견줘 두배(94.1%) 가까이 불어났다. 특히 케이비금융과 하나금융은 그 증가율이 모두 100%를 웃돌았다. 김인 비엔케이(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여신 부실이 진행되면서 충당금도 크게 불고 있다”며 “특히 금융당국이 향후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고 보수적 관점에서 충당금 확충을 요구하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권 가계여신에서만 내년 고정이하여신 규모가 2022년 말보다 최대 1조5천억(1조6천억→3조1천억원)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한 보고서를 펴낸 바 있다. 부실 확대와 충당금 비용 증가가 내년에도 이어진다는 얘기다.

금융당국도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은행업 감독 규정을 개정해 특별대손준비금 적립요구권을 도입했다. 앞으로는 부실여신 대비 은행들이 쌓아놓는 충당금·준비금이 부족하다는 판단이 들면 당국이 추가 적립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은 제도적 근거가 없어 자율 협조 요청만 가능했다.

이주빈 기자 전슬기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