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문화

커튼이 없어 아침이 일찍 오는 곳…“당신이 나약해서가 아니에요”

Summary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OTT)가 지난 3일 공개한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이재규 감독이 마음이 아픈 현대인들한테 바치는 응원가다. 정...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OTT)가 지난 3일 공개한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이재규 감독이 마음이 아픈 현대인들한테 바치는 응원가다. 정신병동 간호사 정다은(박보영)을 중심으로 의료진과 환자들의 일상을 통해 마음의 병은 누구한테나 올 수 있는 감기 같은 것이란 사실을 보여준다. 지난 7일 서울 종로 안국동 한 카페에서 만난 이 감독은 “저도 공황장애와 우울증으로 3년간 마음이 아팠던 적이 있어서 공감이 갔다.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것, ‘내’가 나약해서 그런 게 아니라는 걸 말해주고 싶다”고 했다.

이 드라마는 정신병동 간호사 출신 이라하 작가가 2017~20년 연재한 동명 웹툰이 원작이다. 연재 당시 우울증·공황장애 등 다양한 사례가 구체적으로 등장하고,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해결사처럼 나타나는 남자 간호사의 존재 등 사실적인 이야기가 눈길을 끌었다.

원작에 공감한 이 감독은 환자들의 마음 상태를 시청자들이 체감할 수 있게 하는 데 신경 썼다. 게임 속에 갇힌 망상증 환자가 바라보는 세상을 컴퓨터그래픽으로 보여주고, 물이 차오르는 장면 연출로 공황장애로 숨이 막혀오는 순간을 표현했다. 이 감독은 “마음의 병은 다른 병과 달리 눈으로 확인할 수가 없다. 전 공황장애로 온몸에서 피가 빠져나가는 느낌으로 왔다. 시청자들이 그 답답함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랐다”고 했다. 정다은이 우울증으로 정신병동에 입원한 뒤 환자들을 이해하게 되는 설정도 남다르게 느껴진다.

이재규 감독. 넷플릭스 제공

정신병동에는 커튼이 없어서 종합병원에서 가장 먼저 아침이 온다는 뜻의 제목처럼 드라마는 정신병동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정신병동은 ‘더글로리’ ‘우아한 제국’ 등 기존 드라마에서 주로 환자들이 갇혀있는 부정적 공간으로 등장했다. 이 감독은 “아무리 눈길을 끌어도 시청자들이 받아들이기 힘든 연출은 과감하게 편집했다”고 했다. 드라마는 마음이 아픈 이들이 얼마나 힘든지를 열거하며 자극적인 상황으로 눈길을 끌기보다는 그 원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현실의 우리를 돌아보게 한다. 극중 공황장애는 일이 몰리는 업무 스트레스에서도 오고, 망상증은 전화금융사기로 어렵게 모은 전 재산을 잃어버렸을 때도 온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정신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2017년 약 335만명에서 2022년 459만명으로 늘었다. 이런 시대에 등장한 드라마는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통해 시청자가 현실을 마주 보게 하는 역할도 한다. 한 시청자는 “드라마를 보면서 내가 겪은 일들과 증상이 나와 내 상태를 점검하게 됐다”고 했다.

“다른 사람 시선에 맞춰 내 영혼에 칼을 들이댄다” 등 아픈 이들을 편견 가득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회에 던지는 명대사도 많다. 이 감독은 3부에 나오는 이 대사를 명대사로 꼽았다. “약 먹어요. 버틴다고 버텨지는 병도 아니고 이긴다고 이길 수 있는 병도 아니고.” 이 평범하고 재미없는 대사에 그가 이 드라마로 진짜 말하고 싶은 메시지가 담겨있다. “저도 3년간 병원도 안 가고 버텼어요. 바보 같았어요. 몸을 다치면 병원에 가는 것처럼 마음이 다쳤으면 병원에 가는 거예요. 그게 얼마나 당연하고 중요한 일인지 다은의 대사를 통해 말해주고 싶었어요.”

남지은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