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사회

“취업 힘들다보니”…대학 가는 직업계고 졸업생 또 늘었다

Summary

특성화고등학생권리연합회와 고졸채용확대운동본부 관계자들이 2020년 11월 서울 용산구 용산역 앞에서 졸업 앞둔 특성화고 학생들의 일자리와 고졸취업활성화 지원금 지급 등을 촉구하는 ...

특성화고등학생권리연합회와 고졸채용확대운동본부 관계자들이 2020년 11월 서울 용산구 용산역 앞에서 졸업 앞둔 특성화고 학생들의 일자리와 고졸취업활성화 지원금 지급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직업계고를 졸업한 학생들이 취업하는 비율은 낮아진 반면 대학 진학율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31일 발표한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취업통계조사)를 보면 올해 직업계고 졸업자 가운데 취업자는 1만9526명으로 전체 졸업자(7만1591명)의 27.3%만 졸업 뒤 취업을 택한 것으로 타나났다. 한해 전(29.6%)보다 2.3%포인트 줄어든 수준이다. 반면 졸업자 중 대학 진학자는 3만3621명으로 대학 진학률은 한해 전보다 1.8%포인트 늘어난 47%였다. 직업 교육을 목적으로 한 직업계고를 나오고도 바로 취업하기 보단 대학 진학을 선택한 학생의 비율이 그만큼 늘어난 것이다. 직업계고 졸업 뒤 취업도, 취학도, 군입대 등도 하지 않은 상태인 이들은 1만5533명(21.7%)였다. 올해 취업통계조사는 전국 직업계고 578개교의 올해 2월 졸업자 7만1591명를 대상으로 4월1일 기준 세부 취업 정보를 파악했다.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센터 관계자는 한겨레에 “취업이 힘들다보니 직업계고 학생들은 학교에서 연계하는 전문대 쪽으로 많이 진학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새로운 산업군이 떠오르는 상황에서 전문성을 키우려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직업계고 학생들의 진학률은 2020년 41.5%, 2021년 45%, 2022년 45.2%로 최근 4년 내내 증가 추세다.

직업계고 졸업 뒤 취업한 회사를 보면, 직업계고 졸업자 3명 중 1명(31.8%)은 30명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취업했다. 30∼300명 미만 사업장에 취업한 비율은 34.7%, 300∼1000명 미만 10.8%, 1000명 이상 사업장에 취업한 비중이 22.6%였다. 지난해에 견줘보면 30인 미만 기업 취업자 비율이 소폭(1.9%포인트) 줄고, 300인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율은 3.5%포인트 증가했지만 여전히 상당 수가 소규모 사업장에 취업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졸업 뒤 취업한 회사에 머무는 시간은 소폭 늘어난 걸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말 직업계고 졸업 뒤 6개월까지 취업 상태를 유지한 비율을 나타낸 6개월 유지취업률(2022년 10월1일 기준)은 82.2%로 한해 전보다 3.9%p 늘었다. 12개월까지 졸업 때 입사한 회사를 다닌 비율은 66.4%로 한해 전보다 2.1%포인트 높아졌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지난 8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중등직업교육 발전방안’을 수립해 직업계고 학생들이 현장성 있는 직업교육을 받고 양질의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중앙부처, 지자체,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이 제고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박고은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