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국제

일, 고려대장경 인쇄물 세계기록유산 추진? 서경덕 “한국 것 명확히 해야”

Summary

고려 대장경 목판 인쇄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갈무리 일본 정부가 도쿄 한 사찰이 소장한 고려 대장경 목판 인쇄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 서경...

고려 대장경 목판 인쇄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갈무리

일본 정부가 도쿄 한 사찰이 소장한 고려 대장경 목판 인쇄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한국의 것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4일 페이스북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군함도(하시마) 탄광을 꼽으며 “불교 성전 총서 3종이라는 명목하에 세계인들이 마치 (고려 대장경 목판 인쇄물의) 기원을 일본 불교로 오해하지 않도록 ‘고려대장경은 한국의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밝히도록 끝까지 확인해야만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문부과학성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 신청할 후보로 도쿄 사찰인 조조지가 소장한 ‘불교 성전 총서 3종’과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당시 참상을 보여주는 사진을 각각 선정했다고 보도했다. 유네스코는 1995년부터 훼손되거나 사라질 위험에 처한 기록물 등을 보존하려고 세계기록유산 사업에 나섰다. 진정성·독창성·중요성 등을 따져 2년마다 세계기록유산을 등재하고 있다.

그러나 불교 성전 총서 3종은 중국 남송 시대(12세기)와 원나라 시대(13세기), 한국 고려 시대(13세기) 때 대장경 목판으로 찍은 불교 인쇄물이다.

이 때문에 한국과 중국의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될 경우 군함도 등재 때처럼 일본의 ‘역사 왜곡’ 논란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앞서 유네스코는 2015년 7월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인 군함도 탄광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될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 전략’을 마련하라고 권고했지만 일본 정부는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

다만 세계기록유산은 기록물을 제대로 보존하고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어서 다른 나라의 기록물을 등재 신청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서 교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상의하고 여러 사례를 조사해봤다”며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가치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다른 나라에서 기원한 기록물에 대해 등재를 신청하는 것도 가능해 일본의 등재 추진 자체를 막을 명분은 없다는 게 중론”이라고 말했다.

서 교수는 일본이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당시 참상을 보여주는 사진을 세계기록유산 후보로 선정한 의도도 들여다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한 가지 더 눈여겨봐야 할 것은 일본이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당시 참상을 보여주는 사진을 등재 후보로 올렸다는 것”이라며 “전쟁 책임과 관련된 기록은 배제하고 피해만 부각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끝까지 살펴봐야만 한다”고 말했다.

조윤영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