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산업

독·프 등 유럽 7개국 “2035년까지 무탄소 발전 달성” 합의

Summary

지난 13일(현지시각)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화석연료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전환을 하자’는 합의가 이뤄진 직후 아흐마드 자비르 의...

지난 13일(현지시각)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화석연료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전환을 하자’는 합의가 이뤄진 직후 아흐마드 자비르 의장(가운데) 등 회의 참석자들이 일어나 박수 치고 있다. 두바이/로이터 연합뉴스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7개국이 2035년까지 발전 부문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탈탄소화’ 속도를 높여 기존 목표보다 5년 당기기로 한 것이다.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당사국들이 ‘화석연료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전환’에 합의한 이후 나온 선언이어서 주목된다.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위스 등 유럽 7개국이 기존 유럽연합(EU)의 목표인 2040년보다 빠른 2035년까지 발전 부문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로 합의했다고 18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스위스를 제외한 6개 나라는 유럽연합 회원국이다. 현재 이들 7개 나라의 발전량은 유럽연합 전체 전력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7개 나라가 탈탄소화에 속도를 내기로 합의함에 따라, 재생에너지와 원전 등으로 생산된 저탄소 전력을 국경을 넘어 공유하기 위해 전력망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기반시설을 공동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유럽 환경청 자료를 보면, 유럽연합은 이미 지난해 전체 전력 수요의 41%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 다만 국가별로 상황이 달라 오스트리아는 이미 4분의 3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지만, 프랑스는 전력 생산의 70%를 핵발전(원전)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폴란드의 경우, 유럽연합 국가 중 석탄 발전 비중이 가장 높은 상황이다.

이번 합의로 이들 국가 간 전력 교류가 더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전력망이 독립된 한국과 달리 유럽에선 국가끼리 전력을 사고파는 일이 일상화돼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48%에 달하는 독일은 2000년대 들어 전력 순수출국이 됐다. 지난해 전례없는 폭염으로 유럽 전역의 전력 소비량이 급증했을 때도 독일은 주변국에 전력을 수출했다. 탈석탄 정책에 집중한 2019~2020년도에는 원전이 주력인 프랑스로부터 수입량이 늘었지만, 전체적으론 독일에서 프랑스로의 수출량이 많다.

영국 환경단체 엠버는 2035년께 태양광과 풍력이 전력 생산의 80% 가량의 비중을 차지하며, 석탄과 가스 발전이 거의 ‘0’이 되며 모든 유럽 국가들이 전력 부문의 탈탄소화를 거의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이를 위해선 재생에너지와 전력망에 최대 7500억유로(1071조원)의 선행투자가 필요하지만, 엠버 쪽은 “화석연료에 대한 비용을 줄인 덕에 (탈탄소화 투자액을) 현재 계획보다 더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기용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