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경제

비수도권 성장률 더 떨어졌다…“지역특화 산업 확보해야”

Summary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의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노동자들이 퇴근하는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성장률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비수도권의...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의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노동자들이 퇴근하는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성장률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비수도권의 고부가 업종 비중은 수도권의 절반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가 발표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산업 역동성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비수도권의 경제성장률은 금융위기 이전인 지난 2000∼2007년 4.9%에서 금융위기 이후 2010∼2021년에는 1.9%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의 경제성장률은 5.4%에서 3.4%로 떨어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성장률 격차가 금융위기 이전 0.5%포인트에서 금융위기 이후 1.5%포인트로 훨씬 더 커졌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경제성장률과 인구증가율 낮아졌으나 비수도권의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커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 기업들은 수도권보다 저부가 업종 비중이 높고 고성장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를 보면, 사업자등록 5년 이내인 신생 기업 중 지난 3년간 매출액 연평균 20% 이상 늘어난 고성장 기업(가젤기업)수가 수도권은 2011년 1586개에서 2021년 1986개로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은 1179개에서 1051개로 외려 줄어들었다. 창업 구성 면에서도 수도권은 고부가 업종(정보통신·금융보험·전문과학기술) 비중이 8.0%(2020년 기준)인 반면 비수도권은 3.8%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역 소멸을 막으려면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 기반을 확보하는게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관련 기업들이 있는 경기 평택·용인·화성·이천·파주와 충북 청주, 충남 천안·아산 등은 꾸준히 인구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김천구 연구위원은 “우수한 기업들이 지역에 설립되면 노동 수요가 늘며 인구가 유입되고, 이는 교육·여가·, 숙박·음식업 등 또 다른 수요를 창출해 인프라 확대와 새로운 서비스 일자리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김회승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