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문화

유리병 속 편지

Summary

책거리 펠릭스 누스바움의 ‘유대인 증명서를 쥔 자화상’(1943, 위)과 페미니스트 화가 윤석남이 그린 서경식의 초상(아래). 유대인 난민인 누스바움은 유대인 통행 금지 상황에서 ...

책거리

펠릭스 누스바움의 ‘유대인 증명서를 쥔 자화상’(1943, 위)과 페미니스트 화가 윤석남이 그린 서경식의 초상(아래). 유대인 난민인 누스바움은 유대인 통행 금지 상황에서 신원 조회를 당하는 상황을 그림으로 그렸다. 서경식은 이 그림 옆에 서서 자신의 외국인등록증을 보여주는 모습을 영상에 담으려 했다. 연립서가 제공
외딴섬에서 유리병 속에 편지를 넣어 저 망망대해에 띄웁니다. 누군가에게 가닿을 수 있기나 한 건지 알 수 없지만 그렇게 말을, 그 속에 담은 마음을 던집니다. 어머니의 언어였던 독일어로 시를 썼지만 유대인이란 이유로 나치에 의해 부모가 학살당하고 자신은 강제 노역을 했던 시인 파울 첼란이 자신의 글쓰기가 바로 이 ‘투병통신’(投瓶通信) 같다고 했다지요. 재일조선인 작가 고 서경식(1951~2023)이 2008년께 출판인들을 격려하며 들려줬던 이야기입니다. 출판이란 투병통신을 위한 유리병 같은 거라고, 그러니 고독해도 힘내어 계속 유리병을 만들어 던지자고.

따지고 보면 ‘작가’로서 서경식 자신도 그렇게 태어났습니다. 고국과 일본 그 어디에도 자리가 없는 이산자 재일조선인, 정치범으로 투옥된 두 형과 어떻게든 건사해야 하는 가족…. 암흑과 절망 속에서 “내 마음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표현하고 싶다는 갈망에서 발표할 대상도 없이 원고를 쓰기 시작”했고, 그렇게 기약 없이 던진 유리병들이 끝내 일본을 넘어 고국 사회에까지 가닿았습니다.

서경식이 떠난 뒤, 그가 유리병을 던진 마음을 되새겨봅니다. 외딴섬에 표류해야 하는 지독한 고독이 없었던들 그렇게 간절한 마음이 치솟을 수, 또 그것이 그토록 많은 사람들에게 가닿을 수 있었을까요. 절망 속에서도 한결같이 진실을 직시하며 희망을 건져올릴 수 있었던 그의 사유는 그가 투병통신을 ‘발신’했던 바로 그곳에 서야 비로소 더듬을 수 있을 듯합니다. “피, 문화, 영토라고 하는 강고하게 보이는 기반 위에서 발신하는 게 아니라, 자신은 그러한 강고한 기반과 괴리되어 있다는 자각에서 발신하는 것”이었으니.

최원형 책지성팀장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