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사회

12·12 때 33경비단 일병 유승민 “정치군인에 숨진 장병 명예회복”

Summary

영화 ‘서울의 봄’. 김오랑 소령을 연기한 배우 정해인.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서울의 봄’이 개봉 2주 만에 손익분기점인 460만명을 돌파하며 12·12 군사반란 속 ...

영화 ‘서울의 봄’. 김오랑 소령을 연기한 배우 정해인.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서울의 봄’이 개봉 2주 만에 손익분기점인 460만명을 돌파하며 12·12 군사반란 속 실제 인물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당시 희생된 병사들에 대한 명예회복을 촉구했다.

유 전 의원은 4일 페이스북에 “영화관을 찾는 마음은 무거웠다”며 “당시 현장에서 겪었던 충격적인 기억들이 지금도 가슴 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유 전 의원은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서울 중구 필동의 수도경비사령부 33경비단 일병으로 복무 중이었다.

당시 33경비단장은 하나회 일원이었던 김진영 대령으로,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한 뒤 육군참모총장까지 오른 인물이다. 유 전 의원은 “당시 지휘관이던 33경비단장(김진영)은 반란군에 가담해 혼자 청와대 30경비단(단장 장세동)에 가 있었다”며 “33경비단 병력들은 부단장 지휘하에 장태완 사령관의 명령에 따랐다”고 당시를 기억했다.

이어 “평소 병사들 앞에서 근엄하게 군기를 잡고 군인정신을 외치던 장교들이 편을 갈라 서로 총부리를 겨눈 채 추악한 하극상을 보이고 어느 줄에 서야 살아남을지 계산하느라 우왕좌왕하던 모습을 고스란히 봤다”며 “‘저게 군인이냐’는 생각에 정치군인에 대한 환멸을 갖게 만든 날이었다”고 말했다.

당시 일병으로 복무했던 유 전 의원은 상관의 명령에 따르다가 희생된 병사들에 대한 명예회복을 촉구했다.

유 전 의원은 “영화에서도, 현실에서도 44년 전 그 날 밤 전사한 고 정선엽 병장, 고 박윤관 일병의 명예를 지켜드리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국방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입대했는데 적과의 교전이 아니라 정치군인들의 쿠데타 속에서 명령을 따르다 전사한 이 병사들의 명예를 지켜드리는 일이 아직 남아 있다”며 “영화 ‘서울의 봄’의 날갯짓이 정 병장과 박 일병의 명예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게 따뜻한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영화 ‘서울의 봄’ 스틸컷.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당시 국방부 헌병대 병장이던 정 병장은 제대를 3개월 앞두고 1979년 12월13일 새벽 육군본부를 점거하려는 신군부와의 총격전 중에 숨졌다. 영화 속에서도 육군본부 지하벙커 초소를 한 병사가 지키다 반란군의 총에 맞고 쓰러지는 것으로 그려진다. 23살의 나이로 숨진 정 병장은 1980년 3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순직’으로 분류된 그는 2022년 12월 ‘전사자’로 인정받았다.

반란군 부대에 속해 있던 박 일병은 12·12 군사반란에 동원된 희생자였다. 신군부 쪽 우경윤 대령이 지휘한 수도경비사령부 33헌병대 소속이던 박 일병은 상부의 지시에 따라 육군참모총장 공관 초소를 점령한 뒤 초소를 지키다가 공관 탈환에 나선 해병대가 쏜 총에 맞아 숨졌다. 신군부 쪽은 박 일병을 상병으로 한 계급 추서했다.

상부의 명령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던 정 병장과 박 일병에 대한 추모비 건립, 훈장 추서 요구가 이어졌지만 명예회복 작업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유 전 의원은 고 김오랑 중령의 흉상 또는 추모비 건립에도 힘을 보탰다. 김 중령은 1979년 12월13일 새벽 반란군에 가담한 3공수여단 10여명이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체포한다며 서울 송파구 거여동 특수전사령부 사령관실로 들이닥치자 혼자 정 사령관의 곁에 남아 반란군과 총격전을 벌이던 중 숨졌다. 영화에서는 배우 정해인이 연기했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2021년 10월8일 경남 김해시 김오랑 중령 추모비를 찾아 참배한 뒤 김 중령 친족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뉴스

경남 김해 시민들은 2014년 김해시에서 태어나 초·중·고를 마친 김 중령을 기리기 위해 성금을 모아 김해시 삼성초 인근 산책길에 흉상을 세웠다.

유 전 의원은 “2012년 국회 국방위원장이 된 저는 ‘고 김오랑 중령 무공훈장 추서 및 추모비 건립 촉구 결의안’을 박근혜 정부 국방부와 일부 국방위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3년 4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이듬해 보국훈장 추서로 김 중령의 명예를 조금이라도 지켜드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오늘까지도 육군사관학교나 특전사에 국비로 김 중령의 흉상이나 추모비 하나 세우지 못한 것은 부끄럽다”고 덧붙였다.

12·12 군사반란을 그린 ‘서울의 봄’은 지난달 22일 개봉 이래 둘째 주말인 12월2~3일, 전주보다 16만명 더 많은 137만8000여명을 동원하며 누적 관객 465만5000여명을 기록했다(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조윤영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