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보도자료

서울시, ‘땅속 빈 공간’ 특별점검 확대해 땅꺼짐 막는다

Summary

서울시 관계자가 휴대용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해 땅속 빈 공간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최근 서울 강남구 언주역, 청담역 등에서 땅꺼짐(싱크홀)이 반복됨에 따라...

서울시 관계자가 휴대용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해 땅속 빈 공간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최근 서울 강남구 언주역, 청담역 등에서 땅꺼짐(싱크홀)이 반복됨에 따라 서울시가 땅속 빈 공간(공동)에 대한 특별점검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내년부터 지하 ‘공동’ 특별점검을 매년 5000㎞로 확대 실시하고, 전담 인력과 장비도 두 배 늘린다고 20일 밝혔다. 올해는 3631㎞를 조사해 841곳의 빈 공간을 발견했다. 2014년부터 올해까지 10년 동안 복구한 빈 공간은 6394곳(1만8280㎞)에 이른다. 지하 빈 공간은 빗물이 흘러들어 흙과 모래가 떠내려갔거나 낡은 상하수관이 파손돼 지반이 약해지는 등 다양한 이유로 생긴다. 빈 공간을 방치하면 땅꺼짐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서울시는 법정 의무 점검인 ‘정기점검’과 해빙기와 우기에 수시로 벌이는 ‘특별점검’을 병행하고 있다.

빈 공간 조사는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 신호를 분석해 비었다고 의심되는 지점을 추려내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다음 휴대용 지피알을 이용해 빈 공간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구멍을 뚫어 실제로 비어 있는지 확인한다. 영상 촬영으로 빈 공간의 크기를 조사하고, 지반침하 위험도를 결정하면 확인 작업이 끝난다. 이후 유동성 채움재로 빈 공간을 채워 마무리한다. 서울시는 이 과정에 필요한 탐사 전문인력은 3명에서 6명으로, 지피알 조사장비는 3대에서 5대로 늘리기로 했다.

관리 주체가 복잡하고 다양한 지하시설물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통합 지하안전관리 시스템’도 만들어 활용한다. 올해 5월 마련한 이 시스템은 지하 시설물, 지질, 지하수, 지하 개발 사업 등 각종 지하 정보를 한번에 조회할 수 있어 빈 공간 조사와 지하 안전 점검 등에도 쓰이고 있다. ‘지반침하 위험지도’는 내년에 2단계로 만들기로 했다. 2029년까지 서울 전역에 지반침하 관측망을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등 지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서울시 지반침하 관측망’(가칭)도 마련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 각종 공사장에서 생길 수 있는 지반침하 사고를 막기 위해 굴착 공사장 안전관리도 강화하기로 했다.

손지민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