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국제

‘로봇아 힘내, 난 좀 묻어갈게’…혼자 일할 때보다 결함 늘어

Summary

게티이미지뱅크 사람들이 로봇과 함께 일할 때 무의식적으로 주의를 덜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베를린 공대에 소속된 디틀린드 헬렌 시멕 연구진은 18일(현지...

게티이미지뱅크

사람들이 로봇과 함께 일할 때 무의식적으로 주의를 덜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베를린 공대에 소속된 디틀린드 헬렌 시멕 연구진은 18일(현지시각) 과학 저널 ‘로봇공학과 인공지능(AI)의 프론티어스’에 게재한 논문에서 사람들은 로봇과 함께 일할 때 작업에 덜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른바 ‘사회적 태만’ 현상에 주목했다. 함께 일할 때 팀워크의 잠재력이 낮고, 다른 동료가 작업을 잘 수행하고, 작업이 겹칠수록 덜 열심히 일하게 되는 사회적 태만 현상이 로봇과 함께 일할 때도 나타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로봇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로봇을 일종의 팀원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동료 또는 로봇이 뛰어난 성과를 내거나 자신의 기여도를 인정받지 못할 경우 사람들은 덜 열심히 일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디틀라인드 헬렌 시멕은 가디언에 “팀워크는 복합적인 축복”이라고 말했다. 그는 “함께 일하면 사람들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지만, 개인의 기여도가 눈에 잘 띄지 않아 동기를 잃을 수도 있다”며 “파트너가 로봇일 때에도 이런 동기 부여 효과를 찾을 수 있는지 궁금했다”고 설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연구진은 두 집단에 회로기판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도록 요청했다. 한 집단은 혼자 작업했다. 다른 집단은 로봇이 먼저 검사한 회로기판을 넘겨받아 다시 검사했다. 로봇은 회로기판에 결함을 표시해 넘겼고, 5개의 결함을 놓쳤다. 이들은 로봇과 함께 작업하지는 않았지만 로봇을 봤고 로봇이 작동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실험 결과 두 집단 모두 시간을 들여 거의 모든 회로기판의 표면을 살폈다. 로봇과 함께 일하더라도 사회적 태만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는 결과였다.

그러나 연구진이 두 집단의 결함률을 조사한 결과, 로봇과 함께 일한 집단은 평균 3.3개의 결함을 발견했다. 반면 혼자 작업한 집단은 평균 4.2개의 결함을 찾았다. 로봇과 함께 일한 사람들이 혼자 일한 사람들보다 주의를 덜 기울였다는 게 연구진의 해석이다.

연구진은 똑같이 일하더라도 덜 주의를 기울이는 ‘보고 있지만 보지 못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신의 성과를 평가한 참가자들은 스스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작업을 잘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논문의 수석 저자인 린다 오나쉬 박사는 가디언에 “사람이 어디를 보고 있는지 추적하기는 쉽지만, 그 시각 정보가 정신적 수준에서 충분히 처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고 말했다.

조윤영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