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경제

미 시장금리 하락세? 박스권 전망이 합리적

Summary

제롬 파월 연준 의장. AFP 연합뉴스 미국 시장금리의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지난달 중순 연 5%까지 치솟으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렀던 10년 만기 미국채 금리는 한 달 만에 연...

제롬 파월 연준 의장. AFP 연합뉴스

미국 시장금리의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지난달 중순 연 5%까지 치솟으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렀던 10년 만기 미국채 금리는 한 달 만에 연 4.5%로 내려앉았다. 금리에 민감한 나스닥지수는 올해 중순 기록했던 최고점에 가까워졌다. 코스피 역시 단숨에 200포인트 가까이 뛰었다. 위험자산의 대표 격인 암호화폐 가격도 한 달간 30%가량 상승했다. 미국 시장금리의 큰 폭 하락은 무엇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쳐 온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 긴축 예상이 줄어서다. 시장에서는 내년 어느 시점엔가 정책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늘었다.

이제부터 시장금리가 추세 하락하고 주가는 추세 상승할까. 단기적으로는 그럴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아직 확신하기엔 이르다. 여러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연준이 이른 시일 내에 정책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작다. 이는 고용과 위험자산 가격의 현재 흐름이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중장기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각을 바탕으로 한다. 게다가 이번 긴축 과정은 코로나19 이후 단기적인 유동성 공급에 따른 부작용을 치유하는 측면과 더불어 2000년 아이티(IT)버블 붕괴·2008년 금융위기를 지나며 지속돼 온 장기 초저금리와 유동성 확대, 이에 기인한 부채의 급증 및 금융시스템 위험의 증가에 대한 반성이라는 측면을 동시에 연준이 고려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사실 1970년대 인플레이션 시대 이후 2000년 전까지 연준의 정책금리는 대부분 기간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았으며 이는 매우 자연스럽게 여겨졌다. 명목금리는 성장을 반영하는 실질금리와 기대물가의 합으로 이뤄져 있고, 성장률이 낮을 때도 실질금리는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았다.

하지만 2000년 이후에는 2008년 금융위기 직전을 제외하고는 마이너스 실질금리가 일상화됐다. 연준은 이 현상의 원인을 저물가에 돌려 왔다. 연준은 낮은 금리에도 저물가 현상이 지속하면서 디플레이션을 더 큰 위험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인식은 부채 급증이란 부작용을 낳았고, 주식, 부동산 등 위험자산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상승했다.

1970년대보다 빠른 속도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최근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여전히 4%를 넘는다. 미-중 경쟁과 자원 무기화, 지정학적 위험 확대에 따라 비용 주도 물가 압력도 과거보다 높다. 물가를 크게 낮출 만큼 미국 경제가 급랭하고 있다는 증거도 없다. 현재 연준 입장에서는 금리를 급하게 내려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아 보인다.

파월 의장의 최근 발언 등으로 유추해 보면, 연준은 10년 만기 미국채 금리가 5%를 넘는 것이 부담스러운 만큼 4%로 다가가는 것 역시 부담스러워 하는 듯하다. 시장금리가 연준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책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는 지금 시장금리 수준이 이를 벗어나긴 쉽지 않아 보인다.

SK증권 미래전략부문 대표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