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Stories:
경제

소매판매 3년5개월 만에 최대 감소…‘이자 부담’ 급증이 원인

Summary

음식점 등이 밀집한 서울 종각 젊음의거리 모습. 연합뉴스 ‘소비 부진’이 하반기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고금리·고유가 등 국외발 악재로 빚이 많은 가계를 중심으로 소비 여...

음식점 등이 밀집한 서울 종각 젊음의거리 모습. 연합뉴스

‘소비 부진’이 하반기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고금리·고유가 등 국외발 악재로 빚이 많은 가계를 중심으로 소비 여력이 줄고 있다는 점이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지난 8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 기준 102.6, 2020년=100)는 한 달 전에 견줘 0.3% 줄어 두 달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전국 곳곳에서 호우가 이어졌던 7월에 전월 대비 3.3% 감소한 데 이어, 8월에도 추가로 소비가 줄어든 것이다.

지난해 같은 달에 견주면 8월 소매판매액 지수(불변지수 기준 100.5, 2020년=100) 감소 폭은 4.8%나 된다. 코로나19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확산을 시작한 2020년 3월(-7.8%) 이후 3년5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개인과 소비용 상품을 일반 대중에게 판매하는 약 2700개 표본 사업체의 상품판매액을 조사한 결과다.

가장 소비가 많이 줄어든 부분은 준내구재다. 준내구재는 의복, 신발, 가방처럼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인 상품을 뜻한다. 준내구재 소매판매액은 지난해에 견줘 7.2% 줄었다. 이 밖에 주로 1년 미만 사용되는 상품인 비내구재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5.6% 감소했고,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 1년 이상 사용되는 고가 상품인 내구재는 2.1% 줄었다.

고금리·고유가 등 소비 여력을 줄이는 경제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가계의 허리띠 졸라매기도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 한국 경제의 구조적 특성상 고금리는 소비를 크게 제약할 수밖에 없다.

이미 올해 2분기(4∼6월) 가계의 소득에서 이자와 세금,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월평균 383만1천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견줘 2.8%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13.7%를 차지하는 이자비용이 지난해 2분기에 견줘 42.4%나 늘어난 영향이 크다.

가계의 월평균 이자비용은 2021년 3분기부터 줄곧 늘어나는 추세로, 특히 지난해 3분기부터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이 두자릿수로 커졌다. 지난해 2분기 증가율은 7.1%이고 지난해 3분기 19.9%, 지난해 4분기 28.9% 늘어난 뒤, 올해 들어서는 1분기와 2분기 각각 42.8%, 42.4% 증가했다.

가계의 살림살이는 더욱 빠듯해지고 있다. 올 2분기 가계의 월평균 흑자액은 114만1천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견줘 13.8%(18만3천원) 감소했다. 흑자액은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에서 식료품 등 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가계가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살림에 필요한 지출을 한 뒤 남은 여윳돈을 뜻한다.

가계의 월평균 흑자액은 지난해 3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줄고 있다. 지난해 3분기엔 감소율(전년 동기 대비)이 6.6%, 지난해 4분기엔 2.3%였고, 올해 들어선 1분기 12.1%, 2분기 13.8% 줄어 감소 폭이 커졌다. 올해 2분기 가계 월평균 흑자액 감소 폭은 코로나19 확산 첫해(2020년) 한시적 국민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뒤, 이에 따른 기저효과로 소득이 크게 줄었던 2021년 2분기(-13.7%)보다 확대됐다.

최하얀 기자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